무신론자의 부적

무신론자의 부적

친구가 또 아이패드를 샀다. "이번엔 진짜 그림 그릴 거야." 작년 이맘때는 와콤 타블렛이었다.

현대인의 도구 구매를 보면 재밌는 패턴이 있다. 신을 믿지 않는 사람들이 물건은 믿는다. 맥북의 생산성, 몰스킨의 아날로그 감성, 다이슨의 청소 의지. 무신론자의 부적이다.

믿음의 대체재

종교가 약해진 시대, 우리는 다른 곳에서 희망을 찾는다. 교회 대신 애플스토어, 기도 대신 결제, 은총 대신 프라임 배송.

부적이 액운을 막아준다고 믿듯이, 우리는 도구가 게으름을 막아줄 거라고 믿는다. 성수 대신 언박싱 영상, 축복 대신 리뷰. 구매 버튼을 누르는 순간이 가장 신성하다.

주술의 메커니즘

무신론자의 부적은 이렇게 작동한다:

단계 1: 계시
유튜브 알고리즘이 보여준다. "이 도구로 인생이 바뀌었습니다"

단계 2: 신앙고백
"맞아, 내가 못하는 건 도구가 없어서였어"

단계 3: 헌금
카드번호 입력. 할부는 3개월.

단계 4: 성체배령
택배 수령. 포장지 뜯기. 잠시나마 구원받은 기분.

단계 5: 현실
일주일 후. 도구는 서랍에, 신앙은 다음 제품에.

비합리적 합리성

재밌는 건, 우리 모두 이게 미신이라는 걸 안다는 거다. 도구가 나를 바꾸지 않는다는 걸 알면서도 계속 산다.

왜? 아마도 믿고 싶어서. 변화가 가능하다는 희망을 포기할 수 없어서. 신이 없는 세상에서도 기적은 필요하니까.

그래서 우리는 도구를 산다. 부적처럼, 성물처럼, 희망의 증거처럼.

효험

가끔은 정말 영험하다. 비싼 자전거를 사고 정말 라이더가 된 사람, 맥북을 사고 정말 개발자가 된 사람. 무신론자의 기도가 응답받는 순간.

물론 대부분은 그렇지 않다. 하지만 괜찮다. 부적의 효능은 효과가 아니라 위안이니까. 뭔가 하고 있다는 느낌, 시도하고 있다는 위안.

건전한 미신

무신론자의 부적과 건강하게 지내는 법은 간단하다.

미신임을 인정하되, 즐기기. 효과를 기대하되, 의존하지 않기. 가끔은 정말 영험할 수도 있다고 믿기.

그리고 무엇보다, 너무 많이 사지 않기.

부적도 너무 많으면 충돌한다고 하지 않던가.


오늘도 봤다. 스타벅스에서 새 맥북 언박싱하는 사람. 경건한 표정이었다.

이해한다. 나도 어제 몰스킨 주문했으니까.

무신론자에게도 믿음은 필요하다.

심지어 그게 노트북일지라도.

Read more

대한민국 결혼정보회사의 언번들링

대한민국 결혼정보회사의 언번들링

헬리오시티에 결혼정보회사가 생겼다. 아파트 이름을 그대로 가져다 붙인 '헬리오 결혼정보'다. 평당 1억 원에 육박하는 이 대단지에서 입주민 자녀끼리 연결해주는 사업이다. 래미안원베일리에 이어 두 번째다. 이상한 일이 아니다. 오히려 당연한 수순이다. 결혼정보회사라는 산업이 해체되고 있다. 번들의 시대가 끝났다 전통적인 결혼정보회사는 거대한 번들 상품이었다. 수백만 원의 가입비를 내면 데이터베이스

피터 틸이 본 균열, 맘다니가 증명한 균열

피터 틸이 본 균열, 맘다니가 증명한 균열

2020년의 경고 피터 틸이 2020년에 페이스북 경영진에게 보낸 이메일은 예언이었다. 억만장자 벤처 캐피탈리스트가 사회주의를 옹호한 건 아니었다. 오히려 반대였다. 그는 자본주의가 망가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젊은 세대의 사회주의 경향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틸에게 이건 단순한 정치적 유행이 아니었다. 구조적 실패의 증상이었다. 그는 젊은이들이 "멍청하거나 특권 의식이 있거나 세뇌당했다&

ADHD를 위한 솔루션은 사실 모두를 위한 것이다

ADHD를 위한 솔루션은 사실 모두를 위한 것이다

당신은 오늘 몇 번이나 작업을 바꿨는가? 이메일 확인하다가 슬랙 메시지 보고, 문서 작성하다가 검색하고, 다시 이메일로 돌아갔다가 회의 들어가고. 하루 종일 이렇게 산다. 2004년 UC어바인의 Gloria Mark 교수 연구팀은 하이테크 기업 직원들을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며 관찰했다. 평균 3분 5초마다 작업을 바꿨다. 10년 후 다시 측정했더니 40초였다. 40초. 깊이 생각할 시간조차 없다.

사이드허슬의 지형도: 당신에게 맞는 부업은 무엇인가

사이드허슬의 지형도: 당신에게 맞는 부업은 무엇인가

저녁 7시, 퇴근 후 노트북을 켜는 사람들이 있다. 주말 아침, 커피를 마시며 스마트폰으로 일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단순히 '돈을 더 벌기 위해' 움직이는 것일까? 아니면 그 이상의 무언가를 찾고 있는 걸까? 사이드허슬(side hustle)은 이제 선택이 아닌 시대의 키워드가 되었다. 하지만 모든 사이드허슬이 같은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