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터의 개밥먹기

마케터의 개밥먹기
Photo by Anna / Unsplash

마케터들이 자사 제품을 쓰라고 하면 대부분 이렇게 반응한다. "당연히 써야죠. 안 써보고 어떻게 팔아요?"

하지만 정작 물어보면 절반은 경쟁사 제품을 더 자주 쓰고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그게 더 편해서.

개밥먹기(Dogfooding)라는 말이 있다. 자신이 만든 제품을 직접 사용하는 것. 1970년대 개 사료 광고에서 유래된 이 용어는 이제 IT 업계의 상식이 되었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1988년부터 내부적으로 퍼뜨린 문화다.

그런데 마케터의 개밥먹기는 좀 다르다. 단순히 품질 검증이나 버그 발견이 목적이 아니다. 고객의 마음을 읽는 훈련이다.

볼타팀의 사례가 흥미롭다. 홈페이지 리뉴얼을 앞두고 사업팀 전체가 자사 제품을 다시 써봤다. 매일 쓰던 도구인데도 새로운 발견이 있었다. "아, 이 기능이 이렇게 불편했구나." "고객들이 왜 이 부분에서 이탈하는지 알겠다."

더 재미있는 건 타사 제품도 써보는 것이다. 에어비앤비(Airbnb) CEO는 일 년에 100일 이상 자사 숙소에 머문다. 하지만 호텔도 자주 이용한다. 경쟁사를 경험해야 자사의 차별점이 보이기 때문이다.

마케터의 개밥먹기엔 함정이 있다. 너무 익숙해지면 고객의 첫 경험을 잊는다. 처음 앱을 깔았을 때의 당황스러움, 첫 주문에서 느낀 불안감을 놓치게 된다.

그래서 주기적으로 "처음처럼" 써봐야 한다. 새 계정을 만들고, 고객센터에 문의도 해보고, 환불 과정도 경험해보는 것이다. 불편하지만 필요한 일이다.

가장 중요한 건 객관성이다. 자사 제품에 대한 애정이 지나치면 고객의 불만을 변명으로 치부하게 된다. "고객이 사용법을 몰라서 그래" 같은 식으로.

진짜 개밥먹기는 쓴맛도 삼키는 것이다. 우리 제품이 정말로 별로일 수도 있다는 걸 인정하는 용기. 그래야 진짜 개선이 시작된다.

마케터의 개밥먹기 체크리스트:

  • 일주일에 한 번은 신규 고객처럼 제품 경험하기
  • 경쟁사 제품도 정기적으로 사용해보기
  • 가족이나 친구에게 제품 써보라고 부탁하기
  • 고객센터 상담 내용 정기적으로 읽어보기
  • 앱스토어 리뷰 중 별점 낮은 것부터 읽기

개밥이 맛있어야 고객도 먹는다. 하지만 맛없는 개밥인 줄 모르면 더 문제다.


Read more

뇌가 좋아하는 음식, 뇌가 싫어하는 음식

뇌가 좋아하는 음식, 뇌가 싫어하는 음식

뇌는 까다롭다. 김치찌개 먹을 때 "이거 MSG 들어갔나?" 궁금해하면서, 정작 자기가 제일 화학 덩어리다. 뉴런이라는 세포 70억 개가 전기 신호 주고받으며 살아가는 게 뇌인데, 이놈들 연료로 뭘 넣어줘야 할지 모르는 사람이 많다. 스탠퍼드 후버만 교수가 정리한 걸 보니 생각보다 단순했다. 뇌가 진짜 좋아하는 것들 기름부터 챙겨라 뇌의 60%

By 주중몽크
할 피니는 정말 사토시 나카모토였을까

할 피니는 정말 사토시 나카모토였을까

암호화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매혹적인 미스터리가 다시 화제다. 2025년 들어 할 피니(Hal Finney)가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새로운 '증거들'이 소셜미디어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하지만 과연 이 증거들이 진짜일까? 할 피니라는 이름을 처음 듣는 사람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그는 비트코인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다. 사토시 나카모토로부터 최초의

By 올리버최
시간 관리의 세 단계 진화: 왜 빈 큐를 먼저 만들어야 하는가

시간 관리의 세 단계 진화: 왜 빈 큐를 먼저 만들어야 하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시간 관리를 '할 일 목록' 만들기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좌절합니다. 더 열심히 하는 사람들은 캘린더에 시간 블록을 만들어 할 일을 배치합니다. 나아졌지만 여전히 뭔가 아쉽습니다. 진짜 돌파구는 그 다음 단계에 있습니다. 빈 시간 블록을 먼저 만들고, 할 일은 나중에 채우는 것. 이 미묘한 차이가 왜 모든 것을

By 올리버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