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을 씹어먹고 나온 사람들

조직을 씹어먹고 나온 사람들

창업가들의 이력서에는 보통 이런 스토리가 숨어 있다.

전 직장에서 "이건 아니다" 싶어서 나왔다는 식으로 포장하지만, 실제로는 그 조직에서 가장 잘 나가던 사람들이다. 실적으로 압도하고, 퍼포먼스로 증명하고, 내부 경쟁에서 이기고. 그러다가 어느 날 갑자기 사표를 던진다.

베인 컴퍼니의 탄생이 정확히 이런 케이스다. 보스턴 컨설팅 그룹(BCG)에서 1970년대 초 벌어진 일이다. 창립자 브루스 헨더슨이 회사를 블루, 레드, 그린 세 팀으로 나누고 경쟁시켰다. 내부 혁신을 위한다며.

빌 베인의 블루팀이 압도했다. BCG 매출의 절반 이상을 혼자 벌어들였다. 헨더슨은 베인을 후계자로 점찍었다. 모든 게 완벽했다.

그런데 베인이 갑자기 나가버렸다. 블루팀 시니어 멤버 6명과 함께. 더 충격적인 건 BCG의 대형 고객 7개가 몇 주 만에 베인을 따라간 것이다. Black & Decker, Texas Instruments 같은 거대 기업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이사를 갔다.

이게 바로 "조직을 씹어먹고 나온다"는 것의 진짜 의미다. 단순히 불만이 많아서가 아니다. 오히려 그 조직을 속속들이 알아버린 사람들이다. 어디서 돈이 새는지, 누가 진짜 일하는지, 어떤 프로세스가 뻘짓인지. 그리고 무엇보다 고객이 진짜 원하는 게 뭔지.

베인이 BCG를 나오면서 한 말이 있다. "컨설턴트가 무인도에서 보고서를 병에 넣어 던지는 느낌"이라고. 멋진 분석만 주고 끝나는 게 견딜 수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베인 컴퍼니는 "보고서가 아닌 결과(results, not reports)"를 내세웠다.

사내 경쟁에서 이긴 사람들이 왜 나가는가? 간단하다. 이길 만큼 이겼기 때문이다. 더 이상 증명할 게 없다. 내부 경쟁의 한계를 봤고, 시스템의 천장을 확인했다. 이제 진짜 경쟁을 하고 싶은 것이다.

그래서 나와서 "우리는 다르게 할 거야"라고 말한다. 전 회사의 반대편에서 시작한다. 거기서 답답했던 모든 것들의 반댓말로 회사를 만든다.

문제는 그렇게 만든 회사도 시간이 지나면 비슷해진다는 것이다. 규모가 커지고, 사람이 늘고, 프로세스가 생기고. 어느 순간 자신도 모르게 예전에 떠났던 그 조직과 닮아간다.

그럼 또 누군가는 이 조직을 씹어먹고 나간다. 이번엔 더 많은 실적과 더 큰 고객을 데리고. 그리고 "우리는 다르게 할 거야"라고 말한다.

이게 비즈니스 생태계의 순환이다. 최고의 성과를 낸 사람이 새로운 조직을 만들고, 그 조직에서 또 최고가 된 누군가가 떠나고.

헨더슨의 내부 혁신 실험은 성공적이었다. 혁신을 만들어냈으니까. 다만 그 혁신이 회사 밖에서 일어났을 뿐이다. 최고의 팀과 최고의 고객을 동시에 잃으면서.

Read more

대한민국 결혼정보회사의 언번들링

대한민국 결혼정보회사의 언번들링

헬리오시티에 결혼정보회사가 생겼다. 아파트 이름을 그대로 가져다 붙인 '헬리오 결혼정보'다. 평당 1억 원에 육박하는 이 대단지에서 입주민 자녀끼리 연결해주는 사업이다. 래미안원베일리에 이어 두 번째다. 이상한 일이 아니다. 오히려 당연한 수순이다. 결혼정보회사라는 산업이 해체되고 있다. 번들의 시대가 끝났다 전통적인 결혼정보회사는 거대한 번들 상품이었다. 수백만 원의 가입비를 내면 데이터베이스

피터 틸이 본 균열, 맘다니가 증명한 균열

피터 틸이 본 균열, 맘다니가 증명한 균열

2020년의 경고 피터 틸이 2020년에 페이스북 경영진에게 보낸 이메일은 예언이었다. 억만장자 벤처 캐피탈리스트가 사회주의를 옹호한 건 아니었다. 오히려 반대였다. 그는 자본주의가 망가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젊은 세대의 사회주의 경향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틸에게 이건 단순한 정치적 유행이 아니었다. 구조적 실패의 증상이었다. 그는 젊은이들이 "멍청하거나 특권 의식이 있거나 세뇌당했다&

ADHD를 위한 솔루션은 사실 모두를 위한 것이다

ADHD를 위한 솔루션은 사실 모두를 위한 것이다

당신은 오늘 몇 번이나 작업을 바꿨는가? 이메일 확인하다가 슬랙 메시지 보고, 문서 작성하다가 검색하고, 다시 이메일로 돌아갔다가 회의 들어가고. 하루 종일 이렇게 산다. 2004년 UC어바인의 Gloria Mark 교수 연구팀은 하이테크 기업 직원들을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며 관찰했다. 평균 3분 5초마다 작업을 바꿨다. 10년 후 다시 측정했더니 40초였다. 40초. 깊이 생각할 시간조차 없다.

사이드허슬의 지형도: 당신에게 맞는 부업은 무엇인가

사이드허슬의 지형도: 당신에게 맞는 부업은 무엇인가

저녁 7시, 퇴근 후 노트북을 켜는 사람들이 있다. 주말 아침, 커피를 마시며 스마트폰으로 일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단순히 '돈을 더 벌기 위해' 움직이는 것일까? 아니면 그 이상의 무언가를 찾고 있는 걸까? 사이드허슬(side hustle)은 이제 선택이 아닌 시대의 키워드가 되었다. 하지만 모든 사이드허슬이 같은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