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사용자 수백 명으로 시작한 레딧

가짜 사용자 수백 명으로 시작한 레딧

2005년 여름, 버지니아 대학 기숙사. 두 명의 컴퓨터 과학도가 음식 주문 앱 아이디어를 들고 보스턴으로 향했다. SMS로 피자를 시키는 혁신적인(?) 아이디어였다. 당연히 거절당했다.

그런데 Y Combinator의 폴 그레이엄(Paul Graham)이 이상한 제안을 한다. "인터넷의 프론트 페이지를 만들어보는 게 어때?"

12,000달러. 지금 환율로 1,500만원 정도. 이게 전부였다.

텅 빈 사이트의 딜레마

스티브 허프먼(Steve Huffman)과 알렉시스 오하니언(Alexis Ohanian)은 사이트를 만들었다. 문제는 아무도 없었다는 것. 게시물도 없고, 댓글도 없고, 투표도 없었다.

그래서 그들이 한 일? 가짜 계정을 수백 개 만들었다.

아침에는 tech_guru_2005로 접속해서 기술 뉴스를 올리고, 점심에는 movie_buff_88로 영화 리뷰를 쓰고, 저녁에는 random_dude_42로 댓글을 달았다. 각자 다른 인격으로 대화를 나누고, 논쟁을 벌이고, 농담을 주고받았다.

일종의 디지털 인형극이었다.

첫 번째 진짜 사용자

폴 그레이엄이 자신의 에세이에서 레딧을 언급했다. 첫날 1,000명이 들어왔다. 허프먼과 오하니언은 당황했다. 갑자기 진짜 사람들이 가짜 커뮤니티에 참여하기 시작한 것이다.

재미있는 건, 아무도 눈치채지 못했다는 점이다. 오히려 "여기 사람들 수준 높네"라는 반응이 나왔다.

1,000만 달러의 거래

2006년, 콘데 나스트(Condé Nast)가 레딧을 인수한다. 정확한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1,000만~2,000만 달러 사이로 추정된다. 1년 만에 투자금의 1,000배를 벌어들인 셈이다.

허프먼은 훗날 이렇게 말했다. "우리가 만든 건 플랫폼이 아니라 문화였다. 가짜로 시작했지만, 그 가짜가 만든 분위기가 진짜가 되었다."

2025년의 레딧

월간 활성 사용자 13억 6천만 명. 시가총액 275억 달러.

그런데 여전히 누군가는 여러 계정으로 자작 댓글을 달고 있을지도 모른다. 레딧의 DNA에는 여전히 그 여름날의 인형극이 새겨져 있으니까.

가짜가 진짜가 되는 순간. 그게 인터넷이다.

Read more

대한민국 결혼정보회사의 언번들링

대한민국 결혼정보회사의 언번들링

헬리오시티에 결혼정보회사가 생겼다. 아파트 이름을 그대로 가져다 붙인 '헬리오 결혼정보'다. 평당 1억 원에 육박하는 이 대단지에서 입주민 자녀끼리 연결해주는 사업이다. 래미안원베일리에 이어 두 번째다. 이상한 일이 아니다. 오히려 당연한 수순이다. 결혼정보회사라는 산업이 해체되고 있다. 번들의 시대가 끝났다 전통적인 결혼정보회사는 거대한 번들 상품이었다. 수백만 원의 가입비를 내면 데이터베이스

피터 틸이 본 균열, 맘다니가 증명한 균열

피터 틸이 본 균열, 맘다니가 증명한 균열

2020년의 경고 피터 틸이 2020년에 페이스북 경영진에게 보낸 이메일은 예언이었다. 억만장자 벤처 캐피탈리스트가 사회주의를 옹호한 건 아니었다. 오히려 반대였다. 그는 자본주의가 망가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젊은 세대의 사회주의 경향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틸에게 이건 단순한 정치적 유행이 아니었다. 구조적 실패의 증상이었다. 그는 젊은이들이 "멍청하거나 특권 의식이 있거나 세뇌당했다&

ADHD를 위한 솔루션은 사실 모두를 위한 것이다

ADHD를 위한 솔루션은 사실 모두를 위한 것이다

당신은 오늘 몇 번이나 작업을 바꿨는가? 이메일 확인하다가 슬랙 메시지 보고, 문서 작성하다가 검색하고, 다시 이메일로 돌아갔다가 회의 들어가고. 하루 종일 이렇게 산다. 2004년 UC어바인의 Gloria Mark 교수 연구팀은 하이테크 기업 직원들을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며 관찰했다. 평균 3분 5초마다 작업을 바꿨다. 10년 후 다시 측정했더니 40초였다. 40초. 깊이 생각할 시간조차 없다.

사이드허슬의 지형도: 당신에게 맞는 부업은 무엇인가

사이드허슬의 지형도: 당신에게 맞는 부업은 무엇인가

저녁 7시, 퇴근 후 노트북을 켜는 사람들이 있다. 주말 아침, 커피를 마시며 스마트폰으로 일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단순히 '돈을 더 벌기 위해' 움직이는 것일까? 아니면 그 이상의 무언가를 찾고 있는 걸까? 사이드허슬(side hustle)은 이제 선택이 아닌 시대의 키워드가 되었다. 하지만 모든 사이드허슬이 같은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