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사용자 수백 명으로 시작한 레딧

가짜 사용자 수백 명으로 시작한 레딧

2005년 여름, 버지니아 대학 기숙사. 두 명의 컴퓨터 과학도가 음식 주문 앱 아이디어를 들고 보스턴으로 향했다. SMS로 피자를 시키는 혁신적인(?) 아이디어였다. 당연히 거절당했다.

그런데 Y Combinator의 폴 그레이엄(Paul Graham)이 이상한 제안을 한다. "인터넷의 프론트 페이지를 만들어보는 게 어때?"

12,000달러. 지금 환율로 1,500만원 정도. 이게 전부였다.

텅 빈 사이트의 딜레마

스티브 허프먼(Steve Huffman)과 알렉시스 오하니언(Alexis Ohanian)은 사이트를 만들었다. 문제는 아무도 없었다는 것. 게시물도 없고, 댓글도 없고, 투표도 없었다.

그래서 그들이 한 일? 가짜 계정을 수백 개 만들었다.

아침에는 tech_guru_2005로 접속해서 기술 뉴스를 올리고, 점심에는 movie_buff_88로 영화 리뷰를 쓰고, 저녁에는 random_dude_42로 댓글을 달았다. 각자 다른 인격으로 대화를 나누고, 논쟁을 벌이고, 농담을 주고받았다.

일종의 디지털 인형극이었다.

첫 번째 진짜 사용자

폴 그레이엄이 자신의 에세이에서 레딧을 언급했다. 첫날 1,000명이 들어왔다. 허프먼과 오하니언은 당황했다. 갑자기 진짜 사람들이 가짜 커뮤니티에 참여하기 시작한 것이다.

재미있는 건, 아무도 눈치채지 못했다는 점이다. 오히려 "여기 사람들 수준 높네"라는 반응이 나왔다.

1,000만 달러의 거래

2006년, 콘데 나스트(Condé Nast)가 레딧을 인수한다. 정확한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1,000만~2,000만 달러 사이로 추정된다. 1년 만에 투자금의 1,000배를 벌어들인 셈이다.

허프먼은 훗날 이렇게 말했다. "우리가 만든 건 플랫폼이 아니라 문화였다. 가짜로 시작했지만, 그 가짜가 만든 분위기가 진짜가 되었다."

2025년의 레딧

월간 활성 사용자 13억 6천만 명. 시가총액 275억 달러.

그런데 여전히 누군가는 여러 계정으로 자작 댓글을 달고 있을지도 모른다. 레딧의 DNA에는 여전히 그 여름날의 인형극이 새겨져 있으니까.

가짜가 진짜가 되는 순간. 그게 인터넷이다.

Read more

뇌가 좋아하는 음식, 뇌가 싫어하는 음식

뇌가 좋아하는 음식, 뇌가 싫어하는 음식

뇌는 까다롭다. 김치찌개 먹을 때 "이거 MSG 들어갔나?" 궁금해하면서, 정작 자기가 제일 화학 덩어리다. 뉴런이라는 세포 70억 개가 전기 신호 주고받으며 살아가는 게 뇌인데, 이놈들 연료로 뭘 넣어줘야 할지 모르는 사람이 많다. 스탠퍼드 후버만 교수가 정리한 걸 보니 생각보다 단순했다. 뇌가 진짜 좋아하는 것들 기름부터 챙겨라 뇌의 60%

By 주중몽크
할 피니는 정말 사토시 나카모토였을까

할 피니는 정말 사토시 나카모토였을까

암호화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매혹적인 미스터리가 다시 화제다. 2025년 들어 할 피니(Hal Finney)가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새로운 '증거들'이 소셜미디어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하지만 과연 이 증거들이 진짜일까? 할 피니라는 이름을 처음 듣는 사람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그는 비트코인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다. 사토시 나카모토로부터 최초의

By 올리버최
시간 관리의 세 단계 진화: 왜 빈 큐를 먼저 만들어야 하는가

시간 관리의 세 단계 진화: 왜 빈 큐를 먼저 만들어야 하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시간 관리를 '할 일 목록' 만들기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좌절합니다. 더 열심히 하는 사람들은 캘린더에 시간 블록을 만들어 할 일을 배치합니다. 나아졌지만 여전히 뭔가 아쉽습니다. 진짜 돌파구는 그 다음 단계에 있습니다. 빈 시간 블록을 먼저 만들고, 할 일은 나중에 채우는 것. 이 미묘한 차이가 왜 모든 것을

By 올리버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