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모든 사람이 반대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5가지 방법

회사에서 모든 사람이 반대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5가지 방법
Photo by Debby Urken / Unsplash

"이 프로젝트 중단해야 하나요?" "지금 새 시장에 진출해야 할까요?" "면접 프로세스를 바꿔야 하나요?"

회사에서 일하다 보면 모든 사람이 의견은 다른데 명확한 해결책은 없는 골치 아픈 문제들을 마주하게 됩니다. 특히 시니어 레벨로 올라갈수록 이런 논란거리들은 더욱 자주 찾아오죠.

처음엔 가장 목소리 큰 사람들을 설득해서 갈등을 피해보려 했습니다. 당연히 실패했죠. 각자 다른 맥락에서 다른 목표를 추구하고 있으니 설득이 될 리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수년간의 시행착오를 통해 이런 복잡한 문제들을 체계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찾았습니다.

1. 문제 해결 단계부터 파악하자

대부분의 문제는 우주와 비슷합니다. 새로운 정보를 얻을 때마다 크기와 복잡성이 확장되다가, 어느 순간 해결책이 보이기 시작하면서 수축합니다.

현재 어느 단계에 있는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아직 관련 정보가 부족하다면 → 답을 찾기엔 너무 이름
  • 비슷한 정보가 반복적으로 들린다면 → 정보 수집을 중단하고 해결책 모색 시작

이 단계를 아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한결 편해집니다. 정보 수집 단계에서는 새로운 의견들이 계속 나오는 게 정상이고, 섣불리 해결책을 평가할 필요가 없다는 걸 알 수 있거든요.

2. 모든 걸 문서로 남겨라

머릿속으로만 생각할 때는 보이지 않던 핵심 질문들이 글로 쓰는 순간 명확해집니다.

"이 변화의 주요 목표가 뭐지? 진짜 문제는 사용자 경험인가, 아니면 인식의 문제인가?"

모든 걸 문서화하는 건 번거로워 보이지만, 이렇게 해야 모든 사람이 핵심 정보에 동의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보 수집과 해결책 논의를 분리할 수 있어서 실시간 미팅에서 모든 게 뒤섞이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죠.

기본 사실에 합의하지 못하면 해결책에도 합의할 수 없으니까요.

3. 프로세스를 과도하게 공유하자

문제가 있다는 걸 모든 사람이 알면, 자신이 어떻게 참여할 수 있는지와 계획이 무엇인지도 알고 싶어합니다.

정기적인 업데이트가 이를 해결해줍니다.

"이번 주에 X, Y, Z와 이야기할 예정입니다. 월요일에 추천안을 공유하고, 수요일에 A, B, C 리더들과 공유할 계획입니다. 월요일/화요일에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이렇게 하면 시간도 절약됩니다. 누군가 질문하면 기존에 작성한 프로세스 문서로 답변할 수 있거든요.

4. 부끄러운 질문도 던져라

"실제로 가장 중요한 대상은 누구인가요?" 같은 핵심 정보가 빠져있다면, 안전한 사람을 찾아서 직접 물어보고 팩트 리스트에 답을 적어둡니다.

보통 다른 사람도 그 맥락을 놓치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이를 공유하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됩니다.

5. 명확한 추천안을 써라

보통 이런 논의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은 제가 아닙니다. 하지만 정보를 수집하고 모든 사람과 직접 이야기한 사람으로서 독특한 맥락을 갖고 있죠.

제가 할 수 있는 최고의 서비스는 정보를 종합하고, 옵션을 이해하고, 트레이드오프와 결정 기준을 포함한 하나의 추천안을 간단한 문서로 제시하는 것입니다.

핵심 제안서 구성요소:

  • 요약: 문제 정의 및 추천안 개요
  • 학습한 정보: 사실 vs 가정 (둘 다 중요함)
  • 목표와 결정 기준
  • 옵션별 장단점
  • 이 추천안을 선택한 이유
  • 추천안이 승인될 경우의 다음 단계 (리스크 완화 포함)
  • 다른 옵션을 논의할 시간

이런 간단한 개요가 있으면 실시간 논의가 훨씬 효과적이 됩니다. 모든 사람이 동일한 완전한 정보 기반에서 시작하고, 논의를 이끌 장단점 골격이 있기 때문이죠.

완벽한 해결책을 기대하지 마라

정의상 문제가 논란거리라는 것은 명확한 해결책이 없다는 뜻입니다. 이는 트레이드오프와 결정 원칙과 함께 불완전한 해결책을 제안할 수 있는 허가증을 줍니다.

완벽한 해결책을 제시한 기억은 없습니다. 하지만 이 간단한 프로세스는 가장 어려운 문제들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모든 사람이 동의하지 않을 때도 함께 진전을 만들어가는 방법을 찾을 수 있게 해주었죠.


마무리

논란이 되는 문제들은 피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체계적인 접근법이 있다면 충분히 헤쳐나갈 수 있습니다.

핵심은 완벽한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납득할 수 있는 과정을 만드는 것입니다.

다음번에 "모든 사람이 다른 의견을 가진 문제"에 마주쳤을 때, 이 5단계 프로세스를 한번 시도해보세요. 분명 도움이 될 것입니다.


본 글은 Ami Vora의 "The Hard Parts of Growth - Making progress on controversial problems"를 한국 독자를 위해 번안한 것입니다.

Read more

케이트라나다가 혼자 춤추는 법

케이트라나다가 혼자 춤추는 법

케이트라나다(Kaytranada)가 처음으로 혼자 앨범을 냈다. 'Ain't No Damn Way!' 피처링 아티스트가 한 명도 없다. 재밌는 건 타이밍이다. 모두가 콜라보에 목매는 시대에 혼자 서기를 택했다. 유튜브 알고리즘은 "feat. 누구누구"가 붙어야 조회수가 나온다고 속삭인다. 스포티파이는 협업 플레이리스트를 권한다. 그런데 케이트라나다는 혼자다. NME는 "

By 주중몽크
인터넷에서 건드리면 안 되는 것들: 취향 전쟁의 지뢰밭

인터넷에서 건드리면 안 되는 것들: 취향 전쟁의 지뢰밭

누군가 레딧에 "5만원 와인도 충분히 맛있다"고 썼다가 댓글 300개가 달렸다. 대부분 "와인을 모르시네요"로 시작하는 친절한 교육이었다. 인터넷에서 글 쓰다 보면 깨닫는다. 건드리면 안 되는 성역이 있다는 걸. 종교나 정치 얘기가 아니다. 더 무서운 것. 취향이다. 절대 건드리면 안 되는 것들의 목록 1. 와인: 가격이

By 주중몽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