템플릿 프롬프트 중독증

템플릿 프롬프트 중독증

ChatGPT가 등장한 후 가장 흥미로운 부업이 하나 생겼다. 프롬프트 템플릿 판매업. "마케터를 위한 157가지 프롬프트", "블로거 수익 10배 늘리는 프롬프트 모음집", "ChatGPT로 부업하는 프롬프트 대전집" 같은 상품들이 온라인 마켓에 넘쳐난다.

가격은 대부분 9,900원에서 29,900원 사이. 절묘하게 부담스럽지 않은 선에서 책정된다. 그리고 놀랍게도 잘 팔린다. 구매 후기를 보면 "유용해요!", "바로 써먹었어요!" 같은 댓글들이 줄을 선다.

그런데 이상하다. 이 모든 프롬프트는 무료로 구할 수 있다. 블로그에도 있고, 유튜브에도 있고, 레딧에도 있다. 심지어 ChatGPT에게 "마케팅 프롬프트 만들어줘"라고 물어보면 더 맞춤형으로 만들어준다.

무료로 구할 수 있는 걸 왜 돈 주고 살까?

답은 간단하다. 우리는 프롬프트를 사는 게 아니라 "프롬프트를 소유한다는 느낌"을 산다. 정확히는 "이제 나도 AI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는 도파민을 구입하는 것이다.

경제학에서 말하는 효용(utility)은 실제로 얻는 만족이지만, 우리가 지불하는 건 대부분 "효용이 날 것 같은 기대감"이다. 프롬프트 템플릿을 다운받는 순간 느끼는 뿌듯함과, 실제로 그 프롬프트들을 써서 얻는 결과 사이에는 엄청난 격차가 있다.

마치 헬스장 등록과 비슷하다. 1월에 연간 회원권을 끊으며 느끼는 "올해는 정말 운동하겠다"는 다짐과, 3월쯤 홀로 남겨진 운동복의 현실 같은.

컬렉터의 함정

프롬프트 중독의 진짜 위험은 따로 있다. 계속 새로운 템플릿을 찾게 된다는 점이다. "이번 프롬프트는 뭔가 아쉬운데, 더 좋은 게 있을 거야"라는 생각으로 또 다른 템플릿을 구입한다.

결국 프롬프트 컬렉터가 된다. 폴더엔 수백 개의 프롬프트가 쌓여가지만 정작 써본 건 손에 꼽을 정도. "언젠가 쓸 일이 있겠지" 하며 쌓아두기만 한다.

정작 AI를 잘 쓰는 사람들은 복잡한 템플릿을 쓰지 않는다. 자신만의 간단한 패턴 몇 개만 갖고 있다. "~에 대해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줘", "~의 찬성과 반대 의견을 각각 3개씩 말해줘" 같은 단순한 것들.

AI는 복잡한 명령어보다 명확한 의도를 더 잘 이해한다. 157가지 화려한 프롬프트보다 자신이 정말 원하는 걸 정확히 물어보는 게 낫다.

진짜 해답

그래도 프롬프트 템플릿이 아예 쓸모없다는 건 아니다. 처음 AI를 써보는 사람에겐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문제는 그걸로 끝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결국 가장 좋은 프롬프트는 내가 만드는 프롬프트다. 남이 만든 템플릿은 남의 필요에 맞춰져 있을 뿐이다.

Read more

뇌가 좋아하는 음식, 뇌가 싫어하는 음식

뇌가 좋아하는 음식, 뇌가 싫어하는 음식

뇌는 까다롭다. 김치찌개 먹을 때 "이거 MSG 들어갔나?" 궁금해하면서, 정작 자기가 제일 화학 덩어리다. 뉴런이라는 세포 70억 개가 전기 신호 주고받으며 살아가는 게 뇌인데, 이놈들 연료로 뭘 넣어줘야 할지 모르는 사람이 많다. 스탠퍼드 후버만 교수가 정리한 걸 보니 생각보다 단순했다. 뇌가 진짜 좋아하는 것들 기름부터 챙겨라 뇌의 60%

By 주중몽크
할 피니는 정말 사토시 나카모토였을까

할 피니는 정말 사토시 나카모토였을까

암호화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매혹적인 미스터리가 다시 화제다. 2025년 들어 할 피니(Hal Finney)가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새로운 '증거들'이 소셜미디어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하지만 과연 이 증거들이 진짜일까? 할 피니라는 이름을 처음 듣는 사람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그는 비트코인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다. 사토시 나카모토로부터 최초의

By 올리버최
시간 관리의 세 단계 진화: 왜 빈 큐를 먼저 만들어야 하는가

시간 관리의 세 단계 진화: 왜 빈 큐를 먼저 만들어야 하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시간 관리를 '할 일 목록' 만들기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좌절합니다. 더 열심히 하는 사람들은 캘린더에 시간 블록을 만들어 할 일을 배치합니다. 나아졌지만 여전히 뭔가 아쉽습니다. 진짜 돌파구는 그 다음 단계에 있습니다. 빈 시간 블록을 먼저 만들고, 할 일은 나중에 채우는 것. 이 미묘한 차이가 왜 모든 것을

By 올리버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