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성은 어디로 갔을까 - 테슬러 법칙(Tesler's Law)

복잡성은 어디로 갔을까 - 테슬러 법칙(Tesler's Law)
Photo by John Barkiple / Unsplash

리모컨이 단순해질수록 TV 설정 메뉴는 복잡해진다. 앱 인터페이스가 깔끔해질수록 개발자의 코드는 더러워진다. 고객 상담이 친절해질수록 상담원의 매뉴얼은 두꺼워진다.

이건 우연이 아니다. 제록스(Xerox) 연구원이었던 래리 테슬러(Larry Tesler)가 발견한 법칙 때문이다. 그가 말한 "복잡성 보존 법칙"은 간단하다: 모든 시스템에는 줄일 수 없는 최소한의 복잡성이 있고, 이 복잡성은 사라지지 않는다. 단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할 뿐이다.

스타벅스를 보자. 고객은 "아메리카노 하나"만 말하면 된다. 하지만 바리스타는 원두 종류, 추출 시간, 물 온도, 컵 사이즈를 모두 기억해야 한다. 고객의 단순함을 위해 바리스타가 복잡성을 떠안은 것이다.

아이폰도 마찬가지다. 홈 버튼 하나로 모든 게 해결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수십 개의 제스처와 설정이 숨어있다. 애플은 복잡성을 표면 아래로 밀어 넣었을 뿐이다.

테슬러는 "복사하기-붙여넣기" 기능을 만든 사람이기도 하다. 사용자는 간단한 단축키 두 개만 알면 되지만, 컴퓨터는 메모리 관리, 데이터 형식 변환, 클립보드 동기화 등 수많은 작업을 처리한다. 우리의 편의를 위해 기계가 복잡성을 감당한 셈이다.

문제는 복잡성이 완전히 사라졌다고 착각할 때 생긴다. 카카오톡 메시지 하나 보내는 게 얼마나 쉬운가? 하지만 그 뒤에서는 서버 수백 대가 돌아가고, 개발자들이 밤새 코드를 고치고, 데이터센터가 열을 식히느라 바쁘다.

좋은 디자인은 복잡성을 올바른 곳으로 옮기는 것이다. 사용자가 감당하기 어려운 복잡성은 시스템이 가져가고, 시스템이 처리하기 어려운 판단은 사용자에게 맡긴다.

그런데 가끔은 복잡성을 잘못된 곳으로 보내기도 한다. 회사 인트라넷이 "사용자 친화적"이라며 메뉴를 줄였더니, 정작 필요한 기능을 찾으려면 7번의 클릭이 필요해졌다. 복잡성이 개발자에서 사용자로 고스란히 넘어온 것이다.

테슬러 법칙이 주는 교훈은 명확하다. 복잡성은 마법처럼 사라지지 않는다. 그저 누군가 또는 어딘가가 그 복잡성을 떠안을 뿐이다.

결국 중요한 건 이 질문이다: 누가 복잡성을 감당하는 게 가장 합리적인가?


추신: 이 글을 읽기 위해 당신이 한 일은 스크롤 몇 번뿐이다. 하지만 그 뒤에서는 수백 줄의 코드, 수십 개의 서버, 수천 명의 개발자가 움직였다. 복잡성은 언제나 어딘가에 있다.

Read more

뇌가 좋아하는 음식, 뇌가 싫어하는 음식

뇌가 좋아하는 음식, 뇌가 싫어하는 음식

뇌는 까다롭다. 김치찌개 먹을 때 "이거 MSG 들어갔나?" 궁금해하면서, 정작 자기가 제일 화학 덩어리다. 뉴런이라는 세포 70억 개가 전기 신호 주고받으며 살아가는 게 뇌인데, 이놈들 연료로 뭘 넣어줘야 할지 모르는 사람이 많다. 스탠퍼드 후버만 교수가 정리한 걸 보니 생각보다 단순했다. 뇌가 진짜 좋아하는 것들 기름부터 챙겨라 뇌의 60%

By 주중몽크
할 피니는 정말 사토시 나카모토였을까

할 피니는 정말 사토시 나카모토였을까

암호화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매혹적인 미스터리가 다시 화제다. 2025년 들어 할 피니(Hal Finney)가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새로운 '증거들'이 소셜미디어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하지만 과연 이 증거들이 진짜일까? 할 피니라는 이름을 처음 듣는 사람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그는 비트코인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다. 사토시 나카모토로부터 최초의

By 올리버최
시간 관리의 세 단계 진화: 왜 빈 큐를 먼저 만들어야 하는가

시간 관리의 세 단계 진화: 왜 빈 큐를 먼저 만들어야 하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시간 관리를 '할 일 목록' 만들기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좌절합니다. 더 열심히 하는 사람들은 캘린더에 시간 블록을 만들어 할 일을 배치합니다. 나아졌지만 여전히 뭔가 아쉽습니다. 진짜 돌파구는 그 다음 단계에 있습니다. 빈 시간 블록을 먼저 만들고, 할 일은 나중에 채우는 것. 이 미묘한 차이가 왜 모든 것을

By 올리버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