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틱질의 기술

비틱질의 기술

"아 요즘 너무 바빠서 책도 못 읽어요"라며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리스트를 인용한다. 전형적인 비틱질이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우리 모두가 한다. 단지 들키느냐 안 들키느냐의 차이일 뿐.

비틱질의 본질은 '지위 신호(Status Signaling)'다. 동물행동학에서 가져온 개념이다. 공작새가 꼬리를 펼치듯, 인간도 자기 위치를 알린다. 다만 너무 화려하면 천적에게 잡아먹힌다. 그래서 적당히, 교묘하게.

네덕→비틱이라는 야민정음 유래가 상징적이다. 겉모습(네덕)과 속뜻(기만)이 다르다. 비틱질도 마찬가지다. 겸손한 포장 아래 자랑을 숨긴다.

문제는 모두가 비틱질 탐지기를 갖고 있다는 거다. "MIT 붙었는데 학비가 걱정"이라는 글을 보는 순간 센서가 작동한다. 진화론적으로 당연하다. 남의 지위 신호를 못 알아채면 도태되니까.

그래서 비틱질도 진화한다. 1세대는 단순했다. "우연히 됐어요." 2세대는 고민을 섞었다. "이게 맞나 모르겠어요." 3세대는 자조를 더했다. "운만 좋았던 거죠."

최신 트렌드는 '메타 비틱질'이다. "이거 비틱질로 보일까봐 걱정인데"라고 먼저 선수 친다. 자의식까지 자랑거리로 만든다.

사실 비틱질 자체는 문제가 아니다. 인정 욕구는 매슬로우도 인정한 기본 욕구다. 문제는 서툰 비틱질이다. 티가 나면 역효과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타이밍이 중요하다. 남이 먼저 물어봤을 때 답하는 형식이 안전하다. "하버드 어떻게 붙었어요?"라는 질문에 답하면 자랑이 아니다.

둘째, 희생을 섞어라. "대학원 때문에 연애도 못하고"처럼 trade-off를 보여준다. 완벽한 성공은 미움받는다.

셋째, 유머를 활용하라. "로또 당첨됐는데 세금이 반이라니"처럼 자조적 농담은 날이 무뎌진다.

넷째, 맥락을 만들어라. 관련 주제가 나왔을 때 자연스럽게. 뜬금없는 자랑은 비틱질 확정이다.

다섯째, 분량을 지켜라. 한 문장이면 충분하다. 길어질수록 티가 난다.

어차피 모두가 하는 비틱질. 잘하는 사람과 못하는 사람의 차이는 기술이다.

Read more

뇌가 좋아하는 음식, 뇌가 싫어하는 음식

뇌가 좋아하는 음식, 뇌가 싫어하는 음식

뇌는 까다롭다. 김치찌개 먹을 때 "이거 MSG 들어갔나?" 궁금해하면서, 정작 자기가 제일 화학 덩어리다. 뉴런이라는 세포 70억 개가 전기 신호 주고받으며 살아가는 게 뇌인데, 이놈들 연료로 뭘 넣어줘야 할지 모르는 사람이 많다. 스탠퍼드 후버만 교수가 정리한 걸 보니 생각보다 단순했다. 뇌가 진짜 좋아하는 것들 기름부터 챙겨라 뇌의 60%

By 주중몽크
할 피니는 정말 사토시 나카모토였을까

할 피니는 정말 사토시 나카모토였을까

암호화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매혹적인 미스터리가 다시 화제다. 2025년 들어 할 피니(Hal Finney)가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새로운 '증거들'이 소셜미디어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하지만 과연 이 증거들이 진짜일까? 할 피니라는 이름을 처음 듣는 사람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그는 비트코인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다. 사토시 나카모토로부터 최초의

By 올리버최
시간 관리의 세 단계 진화: 왜 빈 큐를 먼저 만들어야 하는가

시간 관리의 세 단계 진화: 왜 빈 큐를 먼저 만들어야 하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시간 관리를 '할 일 목록' 만들기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좌절합니다. 더 열심히 하는 사람들은 캘린더에 시간 블록을 만들어 할 일을 배치합니다. 나아졌지만 여전히 뭔가 아쉽습니다. 진짜 돌파구는 그 다음 단계에 있습니다. 빈 시간 블록을 먼저 만들고, 할 일은 나중에 채우는 것. 이 미묘한 차이가 왜 모든 것을

By 올리버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