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틱질의 기술

비틱질의 기술

"아 요즘 너무 바빠서 책도 못 읽어요"라며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리스트를 인용한다. 전형적인 비틱질이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우리 모두가 한다. 단지 들키느냐 안 들키느냐의 차이일 뿐.

비틱질의 본질은 '지위 신호(Status Signaling)'다. 동물행동학에서 가져온 개념이다. 공작새가 꼬리를 펼치듯, 인간도 자기 위치를 알린다. 다만 너무 화려하면 천적에게 잡아먹힌다. 그래서 적당히, 교묘하게.

네덕→비틱이라는 야민정음 유래가 상징적이다. 겉모습(네덕)과 속뜻(기만)이 다르다. 비틱질도 마찬가지다. 겸손한 포장 아래 자랑을 숨긴다.

문제는 모두가 비틱질 탐지기를 갖고 있다는 거다. "MIT 붙었는데 학비가 걱정"이라는 글을 보는 순간 센서가 작동한다. 진화론적으로 당연하다. 남의 지위 신호를 못 알아채면 도태되니까.

그래서 비틱질도 진화한다. 1세대는 단순했다. "우연히 됐어요." 2세대는 고민을 섞었다. "이게 맞나 모르겠어요." 3세대는 자조를 더했다. "운만 좋았던 거죠."

최신 트렌드는 '메타 비틱질'이다. "이거 비틱질로 보일까봐 걱정인데"라고 먼저 선수 친다. 자의식까지 자랑거리로 만든다.

사실 비틱질 자체는 문제가 아니다. 인정 욕구는 매슬로우도 인정한 기본 욕구다. 문제는 서툰 비틱질이다. 티가 나면 역효과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타이밍이 중요하다. 남이 먼저 물어봤을 때 답하는 형식이 안전하다. "하버드 어떻게 붙었어요?"라는 질문에 답하면 자랑이 아니다.

둘째, 희생을 섞어라. "대학원 때문에 연애도 못하고"처럼 trade-off를 보여준다. 완벽한 성공은 미움받는다.

셋째, 유머를 활용하라. "로또 당첨됐는데 세금이 반이라니"처럼 자조적 농담은 날이 무뎌진다.

넷째, 맥락을 만들어라. 관련 주제가 나왔을 때 자연스럽게. 뜬금없는 자랑은 비틱질 확정이다.

다섯째, 분량을 지켜라. 한 문장이면 충분하다. 길어질수록 티가 난다.

어차피 모두가 하는 비틱질. 잘하는 사람과 못하는 사람의 차이는 기술이다.

Read more

대한민국 결혼정보회사의 언번들링

대한민국 결혼정보회사의 언번들링

헬리오시티에 결혼정보회사가 생겼다. 아파트 이름을 그대로 가져다 붙인 '헬리오 결혼정보'다. 평당 1억 원에 육박하는 이 대단지에서 입주민 자녀끼리 연결해주는 사업이다. 래미안원베일리에 이어 두 번째다. 이상한 일이 아니다. 오히려 당연한 수순이다. 결혼정보회사라는 산업이 해체되고 있다. 번들의 시대가 끝났다 전통적인 결혼정보회사는 거대한 번들 상품이었다. 수백만 원의 가입비를 내면 데이터베이스

피터 틸이 본 균열, 맘다니가 증명한 균열

피터 틸이 본 균열, 맘다니가 증명한 균열

2020년의 경고 피터 틸이 2020년에 페이스북 경영진에게 보낸 이메일은 예언이었다. 억만장자 벤처 캐피탈리스트가 사회주의를 옹호한 건 아니었다. 오히려 반대였다. 그는 자본주의가 망가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젊은 세대의 사회주의 경향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틸에게 이건 단순한 정치적 유행이 아니었다. 구조적 실패의 증상이었다. 그는 젊은이들이 "멍청하거나 특권 의식이 있거나 세뇌당했다&

ADHD를 위한 솔루션은 사실 모두를 위한 것이다

ADHD를 위한 솔루션은 사실 모두를 위한 것이다

당신은 오늘 몇 번이나 작업을 바꿨는가? 이메일 확인하다가 슬랙 메시지 보고, 문서 작성하다가 검색하고, 다시 이메일로 돌아갔다가 회의 들어가고. 하루 종일 이렇게 산다. 2004년 UC어바인의 Gloria Mark 교수 연구팀은 하이테크 기업 직원들을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며 관찰했다. 평균 3분 5초마다 작업을 바꿨다. 10년 후 다시 측정했더니 40초였다. 40초. 깊이 생각할 시간조차 없다.

사이드허슬의 지형도: 당신에게 맞는 부업은 무엇인가

사이드허슬의 지형도: 당신에게 맞는 부업은 무엇인가

저녁 7시, 퇴근 후 노트북을 켜는 사람들이 있다. 주말 아침, 커피를 마시며 스마트폰으로 일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단순히 '돈을 더 벌기 위해' 움직이는 것일까? 아니면 그 이상의 무언가를 찾고 있는 걸까? 사이드허슬(side hustle)은 이제 선택이 아닌 시대의 키워드가 되었다. 하지만 모든 사이드허슬이 같은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