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 물고기에서 찾은 만능약의 비밀

괴물 물고기에서 찾은 만능약의 비밀

유튜브에서 "하루 한 알로 10kg 감량" 광고를 본 적 있을 것이다. 보통은 스크롤을 내리며 혀를 차겠지만, 이번엔 좀 다르다. 오젬픽(Ozempic) 같은 GLP-1 약물 이야기다.

이 약이 단순히 살을 빼는 게 아니라 심장병, 암, 편두통, 치매까지 막는다는 연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한 연구에선 100만 명의 당뇨 환자를 추적했는데, 이 약을 먹은 사람들이 거의 모든 질병에서 위험도가 낮아졌다.

"너무 좋아서 이상하다"는 게 과학자들의 반응이다.

깊은 바다에서 온 선물

이 약의 시작은 1970년대 괴물 같은 아귀 물고기다. 미국 연구진이 유전자 편집 실험을 하려는데 포유동물 사용이 금지되자, "못생긴 쓰레기 물고기"라며 아귀를 선택했다.

그런데 이 괴물에서 혈당을 조절하는 호르몬의 전신을 발견했다. 문제는 반감기가 너무 짧다는 것. 그래서 다음 주인공이 등장한다.

1990년대, 몇 달을 굶고도 버티는 독도마뱀의 침에서 더 오래 지속되는 비슷한 호르몬을 찾아냈다. 이게 현재 GLP-1 약물의 조상이다.

아귀와 독도마뱀. 자연이 인간에게 준 선물치고는 포장이 별로다.

만능 열쇠의 정체

이 약이 신기한 건 몸 곳곳에 GLP-1 수용체가 있다는 점이다. 마치 집 안 모든 방에 같은 열쇠로 열리는 문이 있는 것처럼.

췌장에서는 인슐린 분비를 늘리고, 위에서는 음식물 배출을 늦춘다. 심장 주변에서는 혈관 염증을 줄이고, 뇌에서는 도파민을 조절한다. 심지어 중독이나 우울증에도 효과가 있다.

한 연구자는 "염증을 줄이는 조절 분자"라고 표현했다. 몸 전체를 돌아다니며 "진정하세요, 덜 공격하세요"라고 속삭이는 불교 승려 같은 역할이라는 것이다.

숨겨진 뇌 이야기

가장 흥미로운 건 뇌에 미치는 영향이다. 단순히 배고픔을 줄이는 게 아니라 "음식 소음"을 없앤다고 한다. 하루 종일 뭘 먹을지, 언제 먹을지 고민하는 그 잡념들 말이다.

도파민 조절 효과도 있어서 중독성 행동을 줄인다. 술, 마약, 도박까지. 어떤 환자는 넷플릭스 보는 시간도 줄었다고 한다.

아직 메커니즘을 다 이해하지 못해서, 이 약을 만든 회사들도 자기 제품이 왜 이렇게 다양한 효과를 내는지 정확히 모른다. 증기기관을 만든 사람들이 열역학 법칙을 몰랐던 것처럼.

모두가 먹어야 할까

당연히 아니다. 아직은 부작용도 있고 가격도 비싸다. 많은 사람이 1년 안에 복용을 중단한다. 메스꺼움, 속쓰림 때문이거나, 주사 맞기가 귀찮아서.

하지만 10년 후엔 상황이 달라질 것 같다. 경구용 약물이 나오고, 특정 질환에 맞춘 버전들이 등장할 것이다. 치매 예방용, 심장 보호용, 항암용으로 세분화되면서 체중 감량은 부수 효과가 될지도 모른다.

그때가 되면 우리는 이렇게 말하게 될 것이다. "못생긴 아귀와 독도마뱀의 더러운 침에서 인류 최고의 약이 나왔다"고.

자연의 농담은 늘 이렇다. 가장 예상치 못한 곳에서 가장 소중한 것이 나온다.

Read more

대한민국 결혼정보회사의 언번들링

대한민국 결혼정보회사의 언번들링

헬리오시티에 결혼정보회사가 생겼다. 아파트 이름을 그대로 가져다 붙인 '헬리오 결혼정보'다. 평당 1억 원에 육박하는 이 대단지에서 입주민 자녀끼리 연결해주는 사업이다. 래미안원베일리에 이어 두 번째다. 이상한 일이 아니다. 오히려 당연한 수순이다. 결혼정보회사라는 산업이 해체되고 있다. 번들의 시대가 끝났다 전통적인 결혼정보회사는 거대한 번들 상품이었다. 수백만 원의 가입비를 내면 데이터베이스

피터 틸이 본 균열, 맘다니가 증명한 균열

피터 틸이 본 균열, 맘다니가 증명한 균열

2020년의 경고 피터 틸이 2020년에 페이스북 경영진에게 보낸 이메일은 예언이었다. 억만장자 벤처 캐피탈리스트가 사회주의를 옹호한 건 아니었다. 오히려 반대였다. 그는 자본주의가 망가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젊은 세대의 사회주의 경향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틸에게 이건 단순한 정치적 유행이 아니었다. 구조적 실패의 증상이었다. 그는 젊은이들이 "멍청하거나 특권 의식이 있거나 세뇌당했다&

ADHD를 위한 솔루션은 사실 모두를 위한 것이다

ADHD를 위한 솔루션은 사실 모두를 위한 것이다

당신은 오늘 몇 번이나 작업을 바꿨는가? 이메일 확인하다가 슬랙 메시지 보고, 문서 작성하다가 검색하고, 다시 이메일로 돌아갔다가 회의 들어가고. 하루 종일 이렇게 산다. 2004년 UC어바인의 Gloria Mark 교수 연구팀은 하이테크 기업 직원들을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며 관찰했다. 평균 3분 5초마다 작업을 바꿨다. 10년 후 다시 측정했더니 40초였다. 40초. 깊이 생각할 시간조차 없다.

사이드허슬의 지형도: 당신에게 맞는 부업은 무엇인가

사이드허슬의 지형도: 당신에게 맞는 부업은 무엇인가

저녁 7시, 퇴근 후 노트북을 켜는 사람들이 있다. 주말 아침, 커피를 마시며 스마트폰으로 일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단순히 '돈을 더 벌기 위해' 움직이는 것일까? 아니면 그 이상의 무언가를 찾고 있는 걸까? 사이드허슬(side hustle)은 이제 선택이 아닌 시대의 키워드가 되었다. 하지만 모든 사이드허슬이 같은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