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 금지 위스키바의 충격

카메라 금지 위스키바의 충격

"잠깐, 뭐라고요?"

바 입구. 직원이 내 핸드폰을 가리킨다.

"카메라 사용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아니 그럼... 1000만원짜리 패피반윙클을 뭘로 찍어요?"

"찍지 않으셔도 됩니다."

혼란의 시작

바텐더가 23년산 패피반윙클을 따른다. 호박색 위스키가 크리스탈 글라스에 담긴다.

완벽한 조명. 완벽한 각도.

반사적으로 주머니를 더듬는다. 텅 비어있다.

"야 이거 빛 반사 좋은데"
"그러니까"

우리는 멍하니 1000만원을 바라봤다.

원시적 시음

"그럼 이제... 그냥 마셔?"

친구가 조심스럽게 잔을 든다.

"잠깐, 건배는?"
"그냥 하면 되지"
"그냥?"

카메라 없는 건배. 뭔가 이상했다.

실시간 당황

"야 이거 어떻게 기록해?"
"못해"
"1000만원인데?"
"그니까"

침묵이 흘렀다.

"메모라도 할까?"
"메모?"
"응"
"...초등학생이야?"

출구의 공허

두 시간 뒤. 바를 나왔다. 핸드폰을 돌려받았다.

"빨리 올려야지"
"뭘?"
"아... 맞다. 사진이 없네"

텅 빈 갤러리. 증거 없는 토요일 밤.

"그럼 뭐라고 올려?"
"글로?"
"글로 '패피반윙클 마심'? 이게 무슨 2009년이야?"

대안 모색

"이모티콘이라도?"
"위스키 마심 🥃?"
"싸이월드야?"

"영수증이라도..."
"누가 봐"

"가게 외관이라도..."
"지나가다 찍은 거잖아"

월요일

"주말에 뭐했어?"
"패피반윙클 마셨어. 23년"
"사진?"
"없어"
"그냥 집에 있었구나"

항변은 무의미했다.

"진짜야"
"그럼 왜 인스타에 없어?"
"카메라 금지였어"
"그런 바가 어딨어"

결론

친구가 말했다.

"다음엔 카메라 되는 데 가자"
"거기는 2000만원이래"
"찍을 수 있잖아"
"맞네"

Read more

대한민국 결혼정보회사의 언번들링

대한민국 결혼정보회사의 언번들링

헬리오시티에 결혼정보회사가 생겼다. 아파트 이름을 그대로 가져다 붙인 '헬리오 결혼정보'다. 평당 1억 원에 육박하는 이 대단지에서 입주민 자녀끼리 연결해주는 사업이다. 래미안원베일리에 이어 두 번째다. 이상한 일이 아니다. 오히려 당연한 수순이다. 결혼정보회사라는 산업이 해체되고 있다. 번들의 시대가 끝났다 전통적인 결혼정보회사는 거대한 번들 상품이었다. 수백만 원의 가입비를 내면 데이터베이스

피터 틸이 본 균열, 맘다니가 증명한 균열

피터 틸이 본 균열, 맘다니가 증명한 균열

2020년의 경고 피터 틸이 2020년에 페이스북 경영진에게 보낸 이메일은 예언이었다. 억만장자 벤처 캐피탈리스트가 사회주의를 옹호한 건 아니었다. 오히려 반대였다. 그는 자본주의가 망가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젊은 세대의 사회주의 경향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틸에게 이건 단순한 정치적 유행이 아니었다. 구조적 실패의 증상이었다. 그는 젊은이들이 "멍청하거나 특권 의식이 있거나 세뇌당했다&

ADHD를 위한 솔루션은 사실 모두를 위한 것이다

ADHD를 위한 솔루션은 사실 모두를 위한 것이다

당신은 오늘 몇 번이나 작업을 바꿨는가? 이메일 확인하다가 슬랙 메시지 보고, 문서 작성하다가 검색하고, 다시 이메일로 돌아갔다가 회의 들어가고. 하루 종일 이렇게 산다. 2004년 UC어바인의 Gloria Mark 교수 연구팀은 하이테크 기업 직원들을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며 관찰했다. 평균 3분 5초마다 작업을 바꿨다. 10년 후 다시 측정했더니 40초였다. 40초. 깊이 생각할 시간조차 없다.

사이드허슬의 지형도: 당신에게 맞는 부업은 무엇인가

사이드허슬의 지형도: 당신에게 맞는 부업은 무엇인가

저녁 7시, 퇴근 후 노트북을 켜는 사람들이 있다. 주말 아침, 커피를 마시며 스마트폰으로 일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단순히 '돈을 더 벌기 위해' 움직이는 것일까? 아니면 그 이상의 무언가를 찾고 있는 걸까? 사이드허슬(side hustle)은 이제 선택이 아닌 시대의 키워드가 되었다. 하지만 모든 사이드허슬이 같은 것은 아니다.